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안심주택 임대기간 및 임대금액 2023년 3차 서울시 공공임대 공급일정 및 현황

by 조조사랑 2023. 11. 7.

2023년 3차 서울시 공공임대 주택 공급 일정 및 공급 현황이 발표되었습니다. 2023년 11월 7일 화요일부터 11월 9일 목요일까지 3일동안 청약 접수를 할 수 있습니다. 2024년 3월 18일(월)부터 2024년 4월 17일 (수)까지 입주 예정입니다. 청년안심주택 임대기간 및 2023년 3차 서울시 공공임대 공급일정 및 현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청년안심주택 임대기간 및 임대금액
청년안심주택 임대기간 및 임대금액

 

서울주택도시공사 콜센터 1600-3456으로 직접 문의할 수 있습니다. 서울주택도시공사 콜센터의 점심시간은 12~13시입니다.

 

청년안심주택 임대기간 및 임대 기간

청년안심주택이란?

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가 지원하는  임대주택 중 1개이라고 합니다. 무주택 사회초년생과 신혼부부를 위해 지하철역에서 가까운 지역을 골라 민간과 서울시가 함께 지원해주는 주거 정책이예요. 민간 기업이 2023년 건설에 참여했으며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이를 직접 매수하여 새롭게 공급 및 재계약하는 형태로 진행됩니다.


시중에서 거래되고 있는 부동산 임대시세의 30~70% 수준으로 임대보증금과 임대료가 지원되는 정책입니다. 때문에 주거비 부담이 큰 사회 초년생과 신혼부부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.

 

만 19세 이상부터 만 39세이하까지 공고일 기준으로 무주택이어야만 하고 자동차 가액 3,686만 원 이내로 소유 및 운영해야만 지원 자격이 됩니다. 무주택 사회 초년생과 신혼부부의 자격요건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주차장 배정원칙 (단지별로 상이할 수 있음)

 

 

 

청년안심주택 임대기간

청년의 경우 임대 기간은 기본 2년입니다. 만약 조건에 부합하여 재계약을 할 경우 2회까지 가능하며 최장 6년까지 청년안심주택에서 임대 거주를 할 수 있습니다.

 

신혼부부의 경우 임대기간은 2년이 기본입니다. 재계약을 하게 될 경우 최대 4회까지 허용됩니다. 자녀가 없는 경우라면 최대 4년까지 거주할 수 있고 자녀가 1명 이상 있는 경우 최대 10년까지 청년안심주택에서 임대 거주가 가능합니다.

 

2023년 3차 청년안심주택 입주자 모집공고문 다운로드

공공_231031_2023년 3차 청년안심주택 모집공고문.pdf
0.61MB

 

 

입주자 선정 우선순위는 자격요건 -> 총가점 -> 가점상 우선순위 나열 -> 전산 추첨을 통해 진행됩니다. 

 

 

청년안심주택 임대금액

임대료는 A, B, C, D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C와 D 타입은 신혼부부 II 유형에 한해서 공급됩니다.

구분 임대료 수준 청년 신혼부부
A 시중시세 30% 1순위 소득50%이내, 수급계층
(수급자, 보호대상 한부모가족, 차상위계층 포함
B 시중시세 40% 2순위, 3순위 소득 70%이내 (배우자 소득있는 경우 90% 이하)
C 시중시세 50% - 소득 80%이내, 수급계층
(수급자, 보호대상 한부모가족, 차상위계층 포함
D 시중시세 60% - 소득 100%이내 (배우자 소득있는 경우 120% 이하)
[4순위] 소득 120%이내 (배우자 소득있는 경우 140% 이하)

 

 

 

 

  • 각 계층의 조건별로 감정평가액의 30%~70%로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를 차등 적용합니다.
  • 각 평형 타입별, 계층별로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가 상이할 수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  • 관리비 책정 주체는 민간사업자로 단지별 관리비가 상이하며 각 단지 여건에 따라 다소 높게 산정될 수 있는 점
    참고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당첨 후 계약을 체결하려면 단지·평형·신청자격별 기본 임대보증금의 20% 금액을 계약금으로 납부하여야 하며, 입주
    전까지 임대보증금의 80% 금액을 잔금으로 납부하셔야 합니다.

 

 

청년안심주택 공급일정 및 공급현황

2023년 3차 청년안심주택 공급일정과 관련해서 자세한 일정이 지난 10월 발표 되었습니다. 그리고 신규와 재공급현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.

 

1. 청약접수 : 2023년 11월 7일 (화) ~ 11월 9일 (목)
2.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 : 2023년 11월 15일 (수)
3. 서류 제출 : 2023년 11월 21일 (화) ~ 11월 23일 (목)
4. 소득 및 자산 소명 : 대상자에게 별도로 개별 통보
5. 당첨자 발표 : 2024년 2월 16일 (금)
6. 계약 체결 : 2024년 3월 4일 (월)부터 3월 6일 (수)
7. 입주 : 2024년 3월 18일 (월)부터 4월 17일 (수)까지

입주자모집 절차 및 일정

 

청약 접수를 하고 난 후 6개월 안에 입주가 가능합니다. 최대 10년까지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가 가능합니다.

 

청년안심주택 신규 공급

송파구, 은평구, 동작구 3개 지역에서 총 266세대가 신규 공급을 받게 됩니다. 내년 2024년 3월 입주 예정이며 청년안심주택 최초 입주자에 한해서 분양 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문정역 마에스트로 : 송파구 문정동 55-6
  • 연신내역 루체스테이션 : 은평구 불광동 323-21
  • 사당역 사당동청년안심주택 : 동작구 사당동 1044-1
  • 신대방 삼거리역 골든노블레스 : 동작구 대방동 403-14

청년안심주택 재공급

서대문구, 마포구, 동작구, 강서구, 서초구, 용산구, 광진구, 도봉구, 노원구, 강남구, 동대문구, 관악구, 송파구, 강동구, 종로구, 중구, 은평구까지 총 17개 자치구 262세대가 재공급됩니다. 1차와 2차에 비해 2023년 3차에서 공급이 더 많으며 2024년 3월 입주 예정이라고 합니다.

  • 충정로역 어바니엘 위드 더 스타일 충정로 : 서대문구 충정로3가 480
  • 합정역 서교동 효성해링턴 타워 : 마포구 서교동 494
  • 노량진역 더클래식동작 : 동작구 노량진동 37-1
  • 등촌역 센터스퀘어등촌 : 강서구 염창동 274-17
  • 서초역 서초꽃마을 : 서초구 서초동 1502-12
  • 삼각지역 용산베르디움프렌즈 : 용산구 한강로 2가 2-350
  • 우장산역 우장산역해링턴타워 : 강서구 화곡동 1170
  • 발산역 엘크루발산 : 강서구 등촌동 671-1
  • 강변역 비바힐스 강변 : 광진구 구의동 593-11
  • 쌍문역 인히어 쌍문 : 도봉구 쌍문동 103-6
  • 태릉입구역 와이엔타워 : 노원구 공릉동 617-3
  • 신논현역 리스트강남 : 강남구 논현동 202-7
  • 선정릉역 모아엘가 퍼스트홈 : 강남구 논현동 278-4
  • 회기역 하트리움 : 동대문구 휘경동 281-1
  • 역삼역 더원역삼 : 강남구 역삼동 738-29
  • 신림역 최강타워 : 관악구 신림동 75-6
  • 잠실새내역 잠실센트럴파크 : 송파구 잠실동 187-10
  • 천호역 효성해링턴타워 : 강동구 성내동 87-1
  • 동묘앞역 청계로벤하임 : 종로구 숭인동 240-1
  •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166 tower : 중구 광희동 1가 166
  • 불광역 호반베르디움 스테이원 : 은평구 대조동 241


인터넷 청약신청 세부일정

인터넷 청약 신청만 가능합니다. 꼭 기억해야 합니다. 

 

청년안심주택은 3일동안 청약접수를 받습니다. 인터넷 청약 사이트를 통해서만 접수가 가능합니다. 우편으로 접수하지 않으니 참고해야 합니다. 또한 접수할 때 도로명 주소를 꼭 기입해야 합니다. 이전 지번주소로 입력해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 

 

청년 가점 사항

 

신혼부부 가점사항

 

 

 

 

 

청년안심주택 임대기간 및 임대금액 2023년 3차 서울시 공공임대 공급일정 및 현황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.


 

 

 

주식 공매도란 지금 시점에 주식 공매도 금지 이유는?

정부는 2024년 6월까지 주식 공매도 전면 중단을 발표했습니다. 국내 주식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라고 합니다. 국내 주식 투자자의 90%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개미 투자자들은 환영하고 있지만

js.fourthtrying.com

 

 

 

국군복지단 군마트 영외마트 이용대상 및 가족등록 방법

군 복지증진을 위한 복지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군복지포털 사이트와 군마트 영외마트에 대해서 혹시 알고 계신가요? 국군복지포털 사이트를 통해서는 휴양시설, 체력단련장 및 인

ssjeong.richmom119.com

 

반응형

//2024. 06. 06 적용